IMMERSIVE MUSIC EXPERIENCE

최인이 바라본 음악적 풍경

음악·영상·공간이 교차하는 순간, 관객은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듯한 몰입을 경험한다.

공연 포스터
Program

From Here to Everywhere

카드를 눌러 곡 설명을 확인하세요.

숲

숲에 들어설 때마다 나무들은 저마다의 자리를 지키며 선명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특히 소나무와 잣나무 숲 사이로 스며드는 빛과 바람, 솔잎의 향기는 언제나 마음을 맑게 한다. 이 곡은 그런 숲의 풍경을 통해 ‘자신의 자리를 묵묵히 지켜내는 이들의 삶’을 음악으로 비춘 작품이다. 2022년 기타 독주로 발표되었으며, 이번 무대에서는 바이올린과의 이중주로 연주된다.

탭하여 닫기 ✕
바다, 산
바다, 산

산을 오르는 길은 늘 오르막과 내리막, 고요와 험난함이 교차한다. 짙은 그늘을 지나 다시 빛을 마주하는 순간, 인간은 자연의 풍경 속에서 자신의 삶을 비춰보게 된다. 이 곡은 그런 산행의 여정을 음악으로 옮긴 작품이다. 기타의 선율은 산길의 오르막과 내리막을 지나 정상에서 마주하는 빛을 노래하며, 삶의 굴곡 끝에 피어나는 성취와 희망을 상징한다. ‘바다’는 끝없이 반복되는 파도의 리듬을 따라 흐르는 곡이다. 파도는 매번 같은 자리로 밀려오지만, 그 울림 속에는 다채로운 빛깔의 위로가 숨어 있다. 오래 바라보고 있으면 어느새 한 가지 진실만을 고요히 되뇌는 듯하다. 끊임없이 다가오고 물러서는 파도의 숨결은, 삶을 버텨내는 우리에게 변치 않는 어떤 답을 속삭이며 마음을 다독인다. 두 곡은 여행과 일상에서 얻은 풍경을 음악으로 번역한 연작 ‘음악적 풍경(Musicscape)’의 일부로, 자연 속에 깃든 시간과 인간의 삶을 서정적으로 비춘 작품이다.

탭하여 닫기 ✕
서(書)
서(書)

이 곡은 서예의 호흡과 필법,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정신에서 출발한다. 각 섹션은 붓의 획이 이어지듯 변화하면서도 끊김 없이 이어지며, 다양한 주법은 먹의 농담과 필선의 기세를 음악으로 번역한다. 〈서〉는 작곡가 최인이 과거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린 기획전 최치원전에 참여하며 탄생했다. 그는 여러 분야 예술가들과 함께 최치원의 삶과 정신을 연구하고 답사한 뒤, 각자의 작품을 선보였고, 그 과정에서 이 곡을 완성했다. 서예라는 우수한 우리 문화에 대한 헌정이자, 동시에 최치원의 삶과 정신을 담아낸 작품이다. 글을 쓰기 전 호흡을 가다듬고 마음을 곧게 세우는 선비들의 태도에서 깊은 감동을 받아, 이를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곡 속에는 우리 전통문화의 깊은 정신성과 그것을 알리고자 하는 작곡가의 열망이 깃들어 있다.

탭하여 닫기 ✕
가던길
가던길

나그네가 길 위에서 만나는 풍경과 사람들, 그리고 다시 떠나야 하는 순간에서 영감을 얻은 곡이다. 여정은 경기에서 정선, 태백과 삼척으로 이어지지만, 이 길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삶 그 자체의 은유이기도 하다. 만남과 이별, 기쁨과 슬픔, 삶의 희로애락이 길 위에서 교차한다. 메나리조 선율은 각 지역의 정서를 담아 흘러가며, 그 선율 속에서 여행길은 인생의 궤적처럼 깊이를 더한다. 피리와 기타의 대화는 서로 다른 세계가 만나 부딪히고 어우러지며,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순간에 새로운 울림을 만들어낸다. 이 곡은 나그네가 걸어가는 길이 결국 우리의 삶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익숙한 듯 낯선 선율은 관객에게 자기 삶의 여정을 비추어 보게 하고, 음악 속에서 잔잔한 위로와 깨달음을 남긴다.

탭하여 닫기 ✕
감포 앞 바다에서
감포 앞 바다에서

신라 문무대왕의 숨결이 남아 있는 감포 앞바다. 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암을 답사하며 작곡된 이 곡은, 삼국통일을 완수한 왕이 “죽어서도 나라를 지키겠다”는 유언과 함께 동해의 바다에 잠든 정신에서 영감을 얻었다. 또한 모든 파도를 잠재운다는 전설 속의 피리 만파식적의 설화와도 맞닿아 있다. 최인은 이 곡을 원래 대금을 상상하며 썼으나, 후에 피리와의 이중주로 편곡하여 새로운 울림을 발견했다. 피리의 맑은 음색은 바람과 파도의 호흡을 닮아 있고, 기타의 깊이 있는 울림은 대지와 바다의 메아리를 담아낸다. 두 악기의 대화는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며, 바다를 지키는 문무대왕의 정신과 평화의 염원을 다시 호명한다. 이 곡이 쓰여질 2017년 당시, 사회는 혼란과 분열로 크게 흔들리고 있었다. 작곡가는 감포 앞 바다를 바라보며, 모든 소란과 어지러움이 잠재워지고 평화와 나라의 안녕이 다시 깃들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탭하여 닫기 ✕
석풍수
석풍수

건축가 이타미 준(유동룡)의 제주 건축 작품 〈석풍수〉에서 받은 인상으로 작곡된 곡이다. 하늘과 땅, 인간을 잇는 ‘천지인(天地人)’의 사상과 제주의 바람·돌·물의 요소가 건축에 스며든 장면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이 곡은 건축이 품은 철학과 공간을 직접 체험한 감각을 음악으로 전환한 작품이다. 기타의 울림은 바람과 돌, 물의 감각을 담아내며,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건축가와 음악가의 따뜻한 마음이 만나 하나의 서정적 풍경으로 그려진다. 클래식기타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쓰인 이 곡은 연주 기법적으로도 완성도가 높으며, 기타의 울림을 통해 제주의 풍경과 건축, 그리고 인간의 정신이 교차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탭하여 닫기 ✕
PRAYER
PRAYER

전쟁과 갈등, 부패와 혼란으로 가득한 현실 속에서 평범한 사람들은 늘 불안 속에 살아간다. 이 곡은 그 혼란 속에서 살아가는 모두를 위한 기도다. 격렬한 외침 대신 고요한 음향 속에 간절한 바람을 담아, 음악이 곧 기도가 되는 순간을 구현한다. 개인의 작은 울림이 모여 세상 속에서 희망의 불씨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작품이다.

탭하여 닫기 ✕
ISLAND
ISLAND

서해의 섬들을 여행하며 얻은 인상에서 출발한 곡이다. 멀리서 바라본 외딴섬은 고독하고 외로워 보였으나, 막상 다가가면 길은 험난해도 곳곳마다 아름다운 비경과 생기 넘치는 식생들로 가득 차 있었다. 작곡가는 이 풍경 속에서 ‘아직 우리 마음속에 남아 있는 먼 대상, 아직 가보지 못한 또 다른 섬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떠올렸다. 〈섬〉은 고독과 편견, 낯섦에서 새로운 이해와 아름다움을 발견해 가는 과정을 음악으로 담아낸 작품이다. 특히 이 곡이 쓰여진 것은 코로나 시기였다. 모두가 섬처럼 고립되고 외로웠던 그 시간, 서로에게 다가가기가 더욱 어려웠던 경험은 곡의 정서와 겹쳐진다. 작곡가는 섬을 여행하며 마주한 풍경을 빗대어, 고립 속에서도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생명력과 아직 경험하지 못한 가능성의 세계를 노래했다.

탭하여 닫기 ✕
FROM HERE TO EVERYWHERE
FROM HERE TO EVERYWHERE...

끊임없는 경쟁과 외적 기준 속에서 우리는 종종 내적인 평온과 작은 사랑의 마음을 잊곤 한다. 이 곡은 외부의 소음이 아닌 내면의 고요와 평화가 울려 퍼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쓰였다. 산길을 걷다 마주했던 어느 순간, 산중턱에 홀로 피어 있던 한 송이 민들레와 곧이어 만난 산비탈을 가득 메운 노란 민들레 군락이 이 곡의 영감이 되었다. 음악은 한 사람의 마음에서 시작된 작은 소망이 바람을 타고 멀리 퍼져나가 뿌리내리는 모습을 담아낸다. 기타와 바이올린의 선율은 서로를 감싸며 개인의 울림이 세상으로 확장되는 가능성을 노래한다. 작품의 제목처럼, ‘이곳에서부터 어디로든’ 이어지는 길 위에 음악의 희망과 사랑의 메시지가 놓여 있다.

탭하여 닫기 ✕
Artists
최인

최인 Composer, Guitarist

기타리스트 겸 작곡가 최인은 한국에서 다수의 콩쿨에서 입상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하고 벨기에로 유학, 레멘스인스튜트(Lemmensinstituut)에서 석사학위를 그리고 독일 로스톡 국립음대(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Rostock)에서 콘체르트엑자멘 과정을 만점으로 졸업하였다. 독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실내악과 독주활동을 펼쳐왔으며 서울대 현악합주, 원주시향, 부천신포니에타, 인천시향과의 협연 및 다수의 독주회, 라디오 출연, 드라마 OST 작곡 및 연주, 피에스타 기타 앙상블, 기타 쿼텟 Imagine, 듀오 카프리치오소의 리더로 활동해왔다. 또한 세종솔로이스츠와 서울시향의 객원 연주자로 무대에 오르며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왔다. 다양한 레퍼토리와 학구적이고 감성적인 그의 연주는 유럽과 한국에서 많은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또한 다양한 동시대적 주제들을 가지고 꾸준히 기타 독주와 실내악곡들을 창작·연주해 가고 있으며, 영상·인터랙티브 그래픽·프로젝션 맵핑 등을 활용하여 음악과 표현의 영역을 더욱 확장해가고 있다.
유현수

유현수 피리

국립국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석사·박사 과정을 모두 마쳤다. 국가무형문화재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이자 ‘종묘제례악’ 전수자로, 전통음악의 품격을 전승하는 동시에 현대적 감각으로 관객의 마음을 울린다. 제68회 조선일보 신인음악회를 시작으로 국내 주요 무대와 오스트리아, 헝가리, 독일, 카메룬, 일본 등에서 초청 공연을 통해 피리의 존재감을 세계에 알렸으며, 현재 수원대학교 국악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재린

박재린 Violin

예원·서울예고와 연세대 음악대학을 졸업 후, 독일 쾰른 국립음대에서 전문연주자과정과 솔로·실내악 석사를 수료했다. 한국일보·스트라드·성정 콩쿠르 등 다수의 국내외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주목받았고,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을 비롯한 주요 무대에서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여러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현재 서울 네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안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리움 챔버오케스트라의 악장이자, 린트리오 및 로드 앙상블의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상명대, 숭실대, 경기예고 등에 출강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Creative Team
연출, 음악감독
최인
음향디자인, 음향감독
이수용
영상디자인, 영상감독
이뿌리
영상 오퍼레이팅
이민정
조명디자인, 조명감독
최예원
무대감독
신재경 (주)달하
조연출
이미리
영상 촬영·제작
DAN 최영광
제작·홍보
피셔인젤 예술기획

Tickets

전석 30,000원 · NOL 티켓
예매
Discounts
조기예매
50%
~ 2025.9.30 예매 시
증빙: NOL 티켓예매
🧑‍🎓청소년
50%
만 24세 이하
증빙: 신분증/학생증
장애인
50%
등록 장애인 (보호자 1인 포함 가능)
증빙: 장애인등록증
🎖️국가유공자
50%
국가유공자 및 유족
증빙: 유공자증/유족증
👵경로우대
50%
65세 이상
증빙: 신분증
🤝저소득층
50%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증빙: 수급자증명서
👨‍👩‍👧‍👦다둥이
50%
다둥이 행복카드 명의자(가족 포함)
증빙: 신분증, 행복카드
🎭예술인
30%
예술인패스 소지자
증빙: 예술인패스
🏙️인천시민
30%
주소지 인천광역시 (인천e음카드 포함)
증빙: 주민등록증/인천e음
👥단체할인
30%
10인 이상(기획사 문의)
문의: 070-4220-3287 / 카카오톡 피셔인젤 예술기획
Notice
  • 모든 할인은 실 관람자 기준 적용, 중복 적용 불가
  • 할인 대상 본인이 직접 증빙 후 수령(대리 수령·양도 불가)
  • 증빙자료 미지참 시 정가 대비 차액 지불
  • 공연 당일 취소/변경/환불 및 현장 할인율 변경 불가
Venue

인천 중구문화회관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296번길 81

대표전화 032-886-9045

지하철 이용
  • 동인천지하상가 7번 출구 → 시내버스 12번, 24번 탑승 → 신선초등학교(유림노르웨이숲) 하차 → 시내버스 13번, 46번 환승 → 중구문화회관 하차
  • 동인천역 1번 출구 → 마을버스 521번 탑승 → 정비단지 하차 후 도보 5분(갯골유수지 맞은편)
  • 동인천역 1번 출구 → 마을버스 521번, 519번 탑승 → 숭의역 2번 출구 하차 → 13번 환승 → 중구문화회관 하차
  • 인하대역 1번 출구 → 시내버스 46번 탑승 → 중구문화회관 하차
  • 숭의역 2번 출구 → 시내버스 13번 탑승 → 중구문화회관 하차
버스 이용
  • 마을버스 521번, 519번, 시내버스 13번, 46번
  • 정류장: 중구문화회관, 정비단지(하차후 도보5분)
주차 안내
  • 공연 관람 시 3시간 주차 가능 · 전기차 충전소 없음
  • 중구문화회관: 53대(일반 52대, 장애인 1대)
  • 중구국민체육센터: 159대(일반 138대, 장애인 14대, 여성 7대)